새로운 시작의 앞에서

2022년 회고

3년의 휴학 기간 동안 산업기능요원으로 복무했습니다. 이제 학교에 있었던 시간보다 회사에 있었던 시간이 더 길어졌습니다.

코로나는 확실히 무서웠고 그 광풍을 저도 피해갈 수 없었습니다. 그러나 이 글을 쓰고 있는 지금은 그 무서움이 꽤 농담이 된 것 같습니다. 18학번으로 입학했지만 비대면 수업을 받는 시대는 거치지 못하고 넘어가버렸습니다.

회사를 차렸습니다

4년간 만들어 오고 있는 solved.ac는 제가 가장 즐겁게 엔지니어링하고 있는 프로젝트입니다. 그래서 다시 학생이 되는 지금이 아니면 언제 해 보겠느냐는 생각으로 회사를 차렸습니다.

복학과 졸업 이후에도 다니던 회사를 계속 다닐 수 있는 옵션은 있었습니다. 급여도 적당히 만족스러웠고, 업무 프레셔도 높지 않았고 사람들도 좋아서 고민이 정말 많이 되었습니다. 하지만 제 프로그래밍-디자인-기획의 복합 역량을 제일 잘 발휘할 수 있는 프로젝트이며, 그렇게 많지는 않지만 이미 10만 명 가까운 유저가 사용 중이라는 것도 결정하는 데에 도움을 줬습니다.

여태까지 저는 제가 하고 싶은 일을 하면서 살았을 때 제일 즐겁게 살았습니다. 그래서 졸업까지 남은 2년을 지금 저에게 있어서 제일 즐거운 일을 오래오래 할 수 있을지 아닐지에 대한 테스트베드로 삼아보려고 합니다. 솔브드는 어디로 가게 될까요?

복무만료

2월에 훈련소를 다녀왔고, 5월에 복무만료가 되었습니다. 이제 예비군입니다.

코로나 시대의 훈련소는 정말 재밌는 곳입니다. 훈련을 3주간 하는데, 그마저도 반 정도 기간은 단체 격리라 야외 훈련은 마지막 1주에 몰아서 합니다. 그런데 조교들까지 단체 확진돼서 우리는 사격훈련과 수류탄 훈련 외의 훈련을 받아보지 못했습니다.

그리고 저도 훈련소 안에서 코로나에 걸려서 논산에서 어디 경기도로 끌려가서 개별 격리 당하고, 그곳에서 수료까지 했습니다.

이외에는 인터넷 편지 받은 거를 제외하고는 모든 군대 이야기는 재미없으니 하지 않겠습니다. 편지 보내주셔서 감사합니다!

성과 자랑

제가 2019년에 정한 PS 인생 목표는 이랬습니다.

올해는 이 중 하나를 더 이뤘습니다. 바로 구글 코드잼입니다!

구글 코드잼 성적은 2019년 2라운드(2,443rd), 2020년 2라운드(1,427th), 2021년 2라운드(1,328th)였습니다. 특히 2021년에는 배열 인덱스를 잘못 잡아서 히든 테스트케이스를 놓치고 진출을 실패했던지라 너무너무 아까웠는데 다행히도 작년의 실수를 올해 만회할 수 있었습니다.

SCPC 2022 Final을 통과했다는 건 무슨 말일까요?

SCPC는 올해도 무수상입니다. 4년 연속인데 언제 상을 타볼 수 있을지 모르겠습니다. 사실 2019년이 가장 가능성 있었을 것 같은데요…

코드포스는 열심히 안 치다가 다시 쳤더니 퍼플로 내려갔습니다. 레드는 너무 요원해 보입니다. 적의환향 어디 갔냐고….

갑자기 분위기 해커톤

즉흥적으로 팀을 꾸려 나간 Junction Asia 2022에서 2등을 했습니다. 중고등학생 때는 해커톤을 많이 나갔는데, 대학교에 와서는 알고리즘 문제해결 관련 필드에 있느라 해커톤은 잘 안 나갔습니다. 해커톤을 마지막으로 나갔던 게 거의 2017년?쯤이었던 것 같으니 5년만입니다.

부산에서 열리는 온사이트 해커톤이었습니다. 제가 나갔던 어떤 해커톤보다 큰 규모의 해커톤이었습니다. 호텔도 지원해 주고, 피자도 줍니다.

금요일부터 일요일까지의 대회여서 저는 개인사유로 휴가 쓰고 회사 몰래 나왔습니다.

4명 팀인데 프론트엔드 엔지니어가 4명, 백엔드 엔지니어 3명이었던지라 개발은 다른 분들께 맡길 수 있겠다고 생각해서 저는 개발은 많이 안 하고(위에 보이는 노트북에 스티커 붙이는 프론트엔드만 개발했습니다), 대신 프레젠테이션을 만들고 디자인에 공을 들였습니다. 여기서 Figma를 처음 써 봤는데 정말 세상에 이렇게 편한 디자인 툴이 있을 수가 없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이후 모든 프레젠테이션을 Figma로 만들고 있습니다.

다년간의 해커톤 경험으로 빠르게 작업하지 않으면 잠을 설치면서 개발하고 디자인할 걸 알고 있었기 때문에 디자인은 첫 날에 거의 끝내버렸고, 둘째/셋째 날은 프로젝트가 어떻게 시장에서 먹힐지를 어필할지 열심히 생각하면서 프레젠테이션을 깎았던 것 같습니다. 해보니까 빠르게 작업하지 않으면 잠을 설치는 게 아니고 그냥 예전의 저는 작업을 빠르게 하지 못했던 거고 빠르게 해도 잠은 어찌됐든 설치는 거였습니다.

블록체인이라는 분야에 대한 막연한 두려움과 이것저것 때문에 블록체인 트랙으로 가게 될 거라고는 상상도 못했는데, 블록체인을 무서워하지 말고 그냥 한번 데이터베이스처럼 써 보라는 Chainapsis 발표를 듣고 설득당했던 것 같습니다. 무엇보다 Ignite CLI가 너무 사용하기 쉽게 되어 있었습니다.

즐겜하러 나왔는데 트랙 2등을 하는 영광을 누렸습니다. 상금은 아웃백에 썼어요. 감사합니다!

오랜만에 해커톤을 나가 보니 제일 힘든 건 집에 돌아와서 바로 다음날 출근하는 거였던 것 같습니다.

소프트웨어 개발

솔브드

올해는 크고 작은 다른 일들이 많아서 솔브드에 쏟을 수 있는 시간이 많지 않았습니다. 길라잡이는 시간을 많이 쏟아야 하는 컨텐츠이기 때문에 본업이 있는 상황에서는 만들기 어려웠던 것 같습니다. 대신 내실을 다지는 개발을 위주로 했습니다.

  • SEO에 조금 더 신경을 썼습니다. 오픈 그래프 스펙을 도입하고, 자동 트윗을 게시할 때 그래픽을 만들어 주도록 했습니다.
    • 다만 자동 트윗 이미지 생성은 최적화할 부분이 많아 보입니다. Puppeteer를 써 봤다 정도에 의미를 부여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 솔브드의 UI 코드를 정리해 @solved-ac/ui-react를 만들었습니다. (후기)
    • 이 과정에서 styled-components를 걷어내고 emotion으로 스택을 바꿨습니다.
  • 아직 완벽하지는 않지만, 영어로 i18n을 했습니다.
  • 문제 검색 쿼리를 최적화했습니다. DBA가 된 기분이었습니다.
    • 작년까지는 8천 문제 푼 사람들 5명의 교집합을 구하려고 하면 서버가 터졌습니다…
  • 길라잡이 에디터의 기반을 아주 약간 다졌습니다.

내년 목표는 이렇습니다.

  • 길라잡이 에디터를 사용할 수 있는 상태까지 발전시키기
  • 가능하다면 백엔드에서 Sequelize 걷어내기. Sequelize를 오랫동안 사용해 본 결과 이건 ORM이 아닌 것 같습니다. 앞으로는 Prisma를 쓰든 EdgeDB를 쓰든 할 것입니다.
  • 백엔드 내실 다지기. 사용자가 많아지면서 웹 서버가 가끔 죽는데, 지금은 Redis도 SQS도 없습니다. 더 늦기 전에 추가해야 합니다.

적어놓고 보니 한 게 많이 없는 것 같습니다. 훈련소도 다녀왔고, 특히 재택에서 출근 근무로 바뀐 탓에 출퇴근 시간 2시간이 사라져 버려서 그런 것 같네요… 퇴근하고 나면 정말 피곤합니다.

이외에도

올해도 정보올림피아드 대회 시스템 프론트엔드 유지보수 작업을 했습니다.

한국정보과학교육연합회의 단계별 프로그래밍 교육 프로그램 BIKO를 만드는 데에 참여했습니다.

평소 팬이었던 ARForest님의 컴필레이션 앨범 The Unattended와 3집 Deep Inside 앨범 사이트를 작업했습니다. Framer Motion으로 애니메이션 작업을 했습니다. WebGL이 배우고 싶어졌습니다.

대회 운영과 출제

NYPC

올해도 시스템 개발과 출제를 맡았습니다. 참가자인 척 끼어 있는 출제진을 찾아보세요!

저는 본선 1519부문 5번 〈지름길〉 문제를 냈습니다. 최단 거리 트리를 생각하다가 두 노드의 최단 거리 트리를 합친 걸 최소화하는 문제는 어떨까 하는 생각에 발제했는데, 어쩌다 보니 가장 어려운 문제로 출제되었습니다. 여러 비하인드가 있는데 이야기 가능한 범위가 어디까지인지는 모르겠습니다.

위의 링크를 들어가 보고 아셨을 수도 있겠지만 해설 사이트도 새로 작업했습니다. 원래도 GitHub에 올라와 있는 오픈 소스 프로젝트여서 GitHub의 좋은 점들을 활용하고 싶었고, GitHub Actions와 Next.js SSG를 사용해 MDX로 작성된 문제 파일을 수정하면 자동 배포가 되도록 구성했습니다. 기존에는 Jekyll과 Kramdown 엔진을 사용해 수식을 작성했는데, 인라인 수식을 $$ ... $$로 작성해야 하는 아주 끔찍한 문법을 쓰고 있었기 때문에 프로젝트를 그냥 처음부터 다시 만들었습니다.

NYPC 출제진으로 일하는 것도 정말 즐거운 경험이었습니다. 저는 이제 퇴사했지만 혹시 출제에 관심이 있으시다면 넥슨 입사 어떠신가요? 의외로 게임 클라이언트뿐만 아니라 웹 프론트엔드/백엔드, 블록체인, MLOps 등 정말 여러 분야에서 채용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보충역 산업기능요원을 알아보고 계신다면 제가 다녔던 엔진스튜디오도 좋은 옵션이라고 생각합니다. 엔진 혹은 넥슨에 레퍼럴이 필요하시면 제 메일로 문의 부탁드립니다.

ICPC 서울 리저널

휴학 중이라 ICPC에 나갈 수 없었는데, 올해는 온사이트로 열리게 되어서 스태프로 일했습니다. 본선에 오신 분이라면 저를 만났을지도 모르겠습니다. 제가 풍선을 달아 드렸을 수도 있구요.

사실 작년에도 참관하기는 했습니다. 스코어보드 공개할 때 제가 잠깐잠깐 나옵니다… 내년부터는 다시 참가자로 대회를 나가 보려고 합니다.

저는 시간에 여백이 부족해서 따로 글을 쓰지는 못했지만 같이 운영해 주신 스탭 분들의 블로그 후기들을 읽어 보시면 스탭으로서의 현장 경험을 조금이나마 느낄 수 있으실 것 같습니다.

UCPC

작년에는 학교에서 팀을 꾸려서 대회에 나왔지만 올해는 다시 전대프연으로 돌아와서 대회 운영을 도왔습니다.

UCPC는 출제로는 연이 별로 없구요, 대신 디자인과 운영에 도움을 드렸습니다. 이번 로고 모양 폼보드 명찰과 폼보드, 티셔츠 등이 제 작품입니다. 개인적으로는 꽤 마음에 들었던 디자인들입니다.

대회 당일에 정말 많이 뛰어다니면서 땀도 많이 흘리고 힘들었던 기억이 있습니다. 200명을 수용할 수 있는 합리적인 가격의 대관처는 정말로 찾기 어렵습니다. 그리고 협소한 대관처는 꽤나 덥습니다.. 이후에 킨텍스에서 진행된 ICPC에서 일하면서 정말 부러웠습니다.

SPC / 서강 프로그래밍 대회

제가 항상 제일 쉬운 문제와 제일 어려운 문제를 내는 대회입니다. 올해에도 어김없이 적당히 쉬운 문제 하나제일 어려운 문제 하나를 냈습니다. 어려운 문제 쪽은 개인적으로 잘 냈다고 생각하지만 쉬운 문제 쪽은 머리가 꼬일 수 있는 지문 + 약간의 케이스 워크 때문에 1~2학년 디비전의 두 번째 문제로 내기에는 약간 부적절했던 것 같다는 소회입니다. 이 자리를 빌어 사과드립니다… 하지만 졸업하실 때는 이 정도는 푸셔야 해요.

언젠가부터 소프트웨어중심대학이 잘려서 학교의 지원을 받기 힘들게 되었고, 학교 지원만으로 충분히 대회를 열 수 있었던 예전과는 다르게 후원도 알아봐야 하고 고생이 많으셨을 텐데 열정 넘치는 멋진 분들께서 운영해 주셔서 대회가 성료될 수 있었던 것 같습니다. 참 다행입니다. 항상 감사드립니다.

빅파이 아직은 안 물립니다. 감사합니다.

이외에도

2023년 1월에 열리는 보드게임컵을 준비 중입니다. 온라인 대회지만 다른 오프라인 대회만큼 고생하고 있는 것 같습니다. 참가해 주시면 기쁠 거예요!

컨퍼런스

고려대학교 중앙 컴퓨터 동아리 KUCC에서 《코딩 테스트 및 알고리즘 문제해결 공부 방법》을 발표했습니다. 코딩 테스트가 개발자 취업 과정에서 어떤 단계에 있는지부터 설명하고, 무슨 언어를 고르면 좋을지, 공부 시작은 어떻게 하면 좋을지, 문제 하나를 해결할 때 시간 분배는 어떻게 하면 좋을지, 그리고 합격하기 전까지 어떻게 공부하면 좋을지 설명했습니다. 저 개인적으로는 코딩 테스트를 피험자로 본 적은 없지만 넥슨 엔진스튜디오 면접 TF에서 일한 경험과 프로그래밍 대회를 준비하던 경험을 녹여 예비 개발자 분들께 도움이 될 만한 내용을 꽉꽉 눌러 담았습니다. 이 발표 자료는 코딩 테스트를 준비하는 분들께 제가 강력히 추천하는 자료이기도 합니다.

프로그래머스의 초청으로 프로그래머스 컨퍼런스 1st에서 《모두의 성장을 위한 서비스 만들기: solved.ac 개발 경험을 토대로》를 소개했습니다. solved.ac를 만들어가면서 했던 — 기여 시스템 설계, 가이드라인 설정, AC 레이팅 설계 — 등에 관련된 길었던, 어찌 보면 계속되고 있는 고민들에 대한 답을 냈던 경험을 정리해 보고 이를 통해 커뮤니티 운영자로서 배운 점들을 공유했습니다. 발표를 준비하면서 커뮤니티의 공감을 얻으려면 확고한 방향을 갖고 기획해나가야 한다는 점을 다시 한 번 되새길 수 있었습니다.

한국항공대학교 학술제에서 《새내기 코딩 마법사를 위한 2차 전직 준비하기》를 주제로 이제 막 학교에 들어온 학생들에게 앞으로의 ‘전직 루트’를 소개했습니다. 학교에서 알려주는 것과 회사에서 하게 될 것들은 다르기 때문에, 회사에서 필요로 하는 역량들에 대해 설명하고, 이를 ‘전직 퀘스트’에 빗대어 어떤 퀘스트들이 있고 어떻게 준비하면 좋은지 발표했습니다. 앞서 고려대학교 KUCC에 했던 코딩 테스트 관련 내용도 간단히 소개했습니다.

지식을 공유하는 건 즐거운 일이라고 생각하지만 사실 저는 제 말의 무게에 힘이 실리는 걸 별로 좋아하지는 않습니다. 제가 알고 있는 내용이 틀릴 수도 있고, 모두에게 적용할 수 있는 것도 아닐 수 있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발표를 부탁받으면 준비하는 데 시간을 많이 쏟게 되는 것 같습니다. 제가 공유한 지식이 누군가에게는 긍정적인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지금 다니고 있는 학교에서도 뭔가 발표해 볼 기회가 있으면 좋겠다 싶은데 서강대는 컨퍼런스가 예전엔 Release에서 주최하는 것이 있었다가 요즘은 안 열리는 것 같아 아쉽네요….

초청해 주신 KUCC, 프로그래머스, 그리고 한국항공대학교 소프트웨어학과에 다시 한 번 감사드립니다.

디자인

solved.ac의 복잡한 페이지 구조를 어느 정도 정리하는 작업을 했습니다.

아이덴티티를 정립하는 것을 목표로 전대프연 UCPC 디자인을 했습니다. 웬만하면 앞으로도 이 로고를 유지하려고 합니다.

서강대학교 프로그래밍 대회 디자인도 작업했습니다.

여기 플래티넘 5 주변 이펙트를 만들었습니다.

쓸데없이 멋진 시즌 종료 보상도 만들었습니다.

이외에도 이것저것 자잘한 디자인을 했는데, 모아보고 나니 상당히 적은 양입니다. 올해는 정말 바빴나 봅니다.

일상 이야기

자취 생활 끝

2022년 8월 28일부터의 낙성대 자취 생활은 2023년 2월 28일을 끝으로 끝나게 됩니다. 회사 출근을 위해서 계약했던 집인데, 학교가 마포~신촌 근처라 낙성대에서 통학하기에는 참 애매해졌습니다.

자취 생활은 생각보다 어렵지는 않았습니다. 설거지나 청소는 할 만 했구요, 제일 어려웠던 건 세면대에 걸린 머리카락 빼내는 거였던 것 같습니다. 그리고 새롭게 알게 된 지식은 치킨스톡은 상온에서 곰팡이가 필 수 있다는 사실입니다.

1년 반 동안 살면서 추억을 많이 쌓았습니다. 가령, 이탈리아 방식의 카르보나라를 할 수 있게 됐습니다.

요리도 해 보고, 회사 동료들을 데려와서 보드게임도 하고, 링고 가서 치맥 하고 했던 즐거운 기억들이 생각납니다. 낙성대역 5번 출구에서 언덕을 꽤 올라가야 나오는 집이지만 복학하면 그리워질 것 같습니다.

낙성대 주민을 위해 자취 생활 하면서 자주 갔던/시켜먹었던 가게 목록을 정리해 보겠습니다. 리뷰는 믿지 마세요. 제가 맛을 보장합니다 👍

  • 백채김치찌개 낙성대점(봉천로 590, 낙성대 4출): 깔끔하고 맛있는 김치찌개입니다. 배달보다는 식당에 가서 먹는 게 이득입니다. 다만 식당에 가서 먹으려면 두 명 이상이서 가야 된다는 점이 흠이라면 흠이네요… 보달라에 치즈계란말이로 변경해서 드세요.
  • 쟝 블랑제리(낙성대역길 8, 낙성대 4출): 이 동네에는 왜 체인 빵집이 없나 고민했는데, 이곳 때문인 것 같습니다.
  • 오월의 김밥(봉천로 605, 낙성대 1출): 아침-점심에만 하는 유명한 김밥집입니다. 가게에 가서 주문하면 줄을 오래 서야 될 수도 있어서, 꼭 전화로 예약하고 가지러 가야 합니다.
  • 피자네버슬립스 샤로수길점(봉천로 534 2층, 설입과 낙성대 중간쯤): 페퍼로니 피자는 꼭 드셔보세요. 라지는 엄청나게 크니까 주의하세요… 하프앤하프도 됩니다.
  • 옷살(관악로 164 B1층, 설입 2출): 근본 인도 음식점입니다. 매운맛 단계와 고기 종류를 커스텀할 수 있고, 양도 꽤 됩니다. 카레 여기만큼 하는 곳은 아직 못 봤습니다. 배달도 해 주는데 가끔 맥도날드보다 빨리 옵니다.
  • 삼백돈(남부순환로230길 48, 설입 1출): 삼백돈 체인의 본점입니다. 개인적으로는 돈카츠 진짜 잘 합니다. 정돈에 약간 못 미치는 수준? 배달도 해 줍니다. 이수점이랑 여기서 둘 다 배달이 되는데 여기가 좀 더 낫습니다.
  • 링고(봉천로 518-4 2층, 설입과 낙성대 중간쯤): 알고리즘 하는 사람들한테는 이미 well-known인 호프집입니다. 세계의 수많은 맥주들을 만나볼 수 있습니다. 이런 종류의 맥주가 있었나 싶은 맥주들은 다 여기서 처음 만나봤던 것 같습니다. 제가 스타우트를 제일 좋아한다는 사실도 처음 알았구요.
    근데 여기는 치킨도 진짜 잘합니다. 동네에서 제일 잘하는 것 같아요. 가격대가 좀 있지만, 치킨과 플랑베, 그리고 기네스 칵테일은 꼭 한 번 가서 드셔보시는 걸 추천합니다!

배달 맛집도 정리해 봅니다.

본가에서 통학할지 신촌에 집을 새로 얻을지는 고민 중입니다. 제가 움직이는 데 쓰는 시간을 상당히 아까워해서 통학은 별로 하고 싶지 않을 것 같기도 합니다.

한별이 광고

신분당선 판교역 강남 방면에 걸린 한별이 광고를 보신 적이 있나요? 올해는 생일선물로 무려 지하철 광고를 선물받았습니다! 정말 예쁜 한별이 감사합니다 매일 보면서 퇴근했어요

여러가지 일들

제주도로 휴가를 다녀왔습니다. 9.81파크에서 카트도 타고, 카페 그루브에서 멋진 일몰을 보고, 정말 멋진 경험이었어요.

마작을 배웠습니다. 마장에서 스안커도 해 봤습니다. 쯔모!

아직은 다른 사람 패 안 보고 내 패만 보고 칩니다. 그러니까 레이팅이 안 오르죠..

마치며

다사다난했던 해는 아니었지만, 큰 결정들을 했고 큰 변화를 앞두고 있는 해였습니다. 안정적이던 회사를 나오고 회사를 차렸습니다. 자취 생활도 끝나갑니다. 내년에는 어디로 흘러가게 될까요? 어떻게 되든 할 수 있는 한의 최선을 다하고 싶습니다.

월파 후기는 아직도 쓰지 못했습니다. 빠르게 정리해서 올려 보고 싶은데, 시간이 많이 없었던 것 같습니다. 기억이 사라지기 전에 정리해야겠습니다.

올해도 수고하셨습니다. 내년에도 힘내 봅시다.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

위드 코로나 체험판 다운로드 및 설치

2021년 회고

ICPC World Finals Moscow

코로나가 올해 12월에는 끝나있을 줄 알았죠. 일일 확진자 수가 최고치를 갱신 중이라는 작년 회고가 무색하게, 연말 확진자 수는 만 명에 가까워지고 있어요. 하지만 위드 코로나 체험판과 이런 시국에 다녀온 월드 파이널 덕분에 작년보다는 여기저기 많이 돌아다녔답니다.

덧없는 인생 목표

운좋게도 ICPC World Finals에 초청받게 되었습니다. 대회에 참여하려면 팀원 세 명이 모두 접종완료여야 하는데 한국의 백신 수급 상황이 좋았던 영향이었습니다. 모스크바 시내도 구경하고, 문제도 구경만 하다 왔어요.

2010년 이후로 11년만에 서강대학교 이름을 올렸습니다

2019년에는 월드 파이널을 그렇게 나가고 싶어했던 것 같은데, 월드 파이널 진출이 나름의 인생 목표였습니다. 그런만큼 엄청 멀게 느껴졌던 곳이기도 했구요. 그런데 이렇게 허무하게 달성해 버렸네요. 마음 한 켠에 애매함이 남습니다. 사실 제가 원했던 건 월드 파이널 진출 자체가 아니라 한국 리저널에서 월드 파이널에 진출할 만한 실력을 갖는 것이었는지도 모르겠습니다.

좋은 경험이었지만 87위라는 성적은 개인적으로는 정말 정말 많이 아쉬웠고, 비록 2019년 서울 리저널 상위 팀이었기에 기회를 잡았던 것도 맞는 말이지만 코로나 시국이 아니었다면 진출하지 못했을 것이기에 목표를 제대로 이루지 못한 것 같다는 생각이 계속 듭니다. 그래서 이미 이룬 목표지만 복학 후에 한 번 더 도전해 보려고 합니다. 아쉬움을 풀고 싶어요.

팀 레드시프트를 찾아보세요!

월드 파이널 참가 및 모스크바 여행 후기를 작성하고 있습니다. 기대해 주세요!

소프트웨어 개발

solved.ac

3.0.0

올해도 작년에 이어 solved.ac 개발에 많은 노력을 쏟았습니다. 올해에도 큼직한 기능들을 정리해 봅시다.

  • 출처 기반 문제 검색. (1월) 문제 출처를 기반으로 검색할 수 있습니다. from:sogang, from:ioi2021 같은 게 되죠.
  • AC 레이팅. (3월) 경험치 기반 티어 산정을 버리고 새로운 레이팅을 도입했습니다.
  • Express로 처음부터 끝까지 다시 구현된 백엔드. (6월)
  • solved.ac 디스코드 및 디스코드 연동. (6월) solved.ac 계정과 Discord 계정을 연결해 solved.ac에서 티어가 변경되면 Discord에서 역할이 바로 변경되게끔 했습니다. 본인의 solved.ac 닉네임을 채팅 닉네임으로 사용해야 하기 때문에 서버 채팅 관리 부담도 적죠.
  • 트위터 연동. (6월) 문제를 풀면 실시간으로 트윗을 올려 줍니다.
  • 스트릭. (7월) 연속으로 문제를 해결한 날짜 수를 계산해 줍니다. 스트릭이 생긴 이후로 문제를 풀고 싶은 마음이 더 생기지 않았나요?
  • 별조각. (10월) 문제를 풀고 기여를 하면 뭔가 재화를 드려요.
  • 문제 해결 이벤트. (11월) 우여곡절은 많았지만 빼빼로 데이 이벤트를 진행했습니다. 진짜 빼빼로를 보내드렸어요.
  • 코인과 코인샵. (11월) 프로필 배경과 스트릭 프리즈를 구매할 수 있어요.

정말 많네요!

3월에 AC 레이팅 업데이트를 하고 나서는 기존에 PHP로 짜여 있던 백엔드를 전부 Express.js로 포팅했는데요, 기존의 백엔드 서버가 EC2에 올라가 있고 제가 FTP로 수정했으며 버전 관리 같은 거 하나도 안 했다면 믿으시겠나요? 지금은 상상할 수도 없는 일이네요.

Github Actions

solved.ac의 API 셋은 기존에도 방대했어서 Express로 포팅하는 데에는 장장 3달이 걸렸습니다. 하지만 포팅이 완료된 6월 이후의 업데이트 내역들을 보면 DP를 참 잘 돌린 거 같아요. 시간이 된다면 포팅 후기도 작성해 보고 싶습니다. 사실 이렇게 말하면 나중에 결국 안 쓰게 되긴 합니다. 시간을 내서 써야 하는 건데 어렵더라구요.

백엔드를 포팅하고 나서 지금까지, 즉 3월부터 12월까지 새로 알게 된 큼지막한 기술과 방법론들을 정리해 보면

  • Github Actions: CI/CD
  • AWS ECR을 통해 ECS에 무중단 배포
    • Github Actions를 사용해 자동 배포까지
  • Sequelize: ORM
  • yarn 워크스페이스와 lerna를 이용해 모노레포 구축
    • 클라이언트와 서버 간 쉬운 코드 공유를 통해 효율적인 작업환경 구축
  • Express로 레이트 리미팅 미들웨어 제작
  • SQL optimizer hints를 이용한 쿼리 최적화 — 문제 고급 검색 속도를 엄청나게 향상했어요

정도가 있겠습니다. 저는 되게 야매로 개발한다고 주장하고 실제로도 그러고 있는데, 이제야 조금 제대로 뭔가를 만들고 있다는 느낌이네요. 그래도 아직 많이 부족하다고 느끼고, 더 성장하고 싶습니다. 이제는 TDD를 해보고 싶은데….

내년에는 새로운 기능 개발보다는 길라잡이를 작성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는 데 열중하고 싶습니다. 길라잡이가 너무 너무 너무 너무 미뤄졌죠 죄송해요 내년에도잘부탁드려요

뭔가 (상대적으로) 챌린징한 프론트엔드 태스크와 챌린징한 백엔드 태스크를 매년 번갈아 하는 거 같은 느낌이네요. 내년에는 길라잡이 기반을 완성할 수 있을까요?

한국정보올림피아드 대회 프론트엔드

대회 시스템 사용 가이드

올해는 온라인으로 개최된 한국정보올림피아드의 대회 시스템 프론트엔드를 직접 설계 및 개발했습니다. 디자인도 다 했습니다.

수많은 챌린징한 프론트엔드 태스크를 다뤘습니다. 예를 들어…

  • 웹소켓을 통한 실시간 채점 정보 취득
  • 언어 서버가 없어서 완벽하지는 않지만, 약간의 편의를 제공하는 자동완성
  • 크기 조절이 가능한 문제 스테이트먼트 / 코드 에디터 2분할 화면, 너무 길어지면 잘리며 버튼을 누르면 열고 닫을 수 있는 코드 블록, LaTeX 렌더가 가능한 스낵바, 비버챌린지(유저가 상호작용할 수 있는, 캔버스에 랜더하는 자바스크립트 코드를 동적으로 엠베드하기) …
  • 부정행위 예방을 위한 화면 녹화 및 기타 여러 솔루션

등이 있습니다. 더 자세하게 말하지는 못하지만 정말 힘들었던 프로젝트였습니다. 제가 대학생이 되어서 알고리즘 문제해결을 시작해서 그런지 정보올림피아드에 나가보지 못한 걸 아쉬워했는데요, 이렇게라도 참가하게 되어 뿌듯했던 프로젝트였습니다. NYPC도 마찬가지구요!

준비되지 않은 나 앞에 성큼 다가와 버린

파트장

왠진 모르겠는데 회사를 다니다 보니까 직함이 생겼어요…. 와아….

부족한 실력으로 면접관도 되어 보고 회사의 여러 일들에 관여하게 되다가 12월에 파트장으로 발령받았어요. 작은 파트긴 하지만 처음으로 해 보는 매니징이라 잘 해낼 수 있을지 겁나네요.

저 잘 하고 있는 걸까요? 그렇지 않더라도 저를 믿어 주고 계시는 분들께 실망이 되지 않도록 잘해내봐야겠어요

새삼 이 때가 얼마나 좋았는지 실감이 나요. 사실 아직은 저거 ‘팀장님’으로 바꾸면 유효하긴 한데

대회 프로그래밍

NYPC

NYPC 시스템 개발에 이어 올해는 출제를 했습니다.

저는 예선 1번 계단예선 7번 루트가 많은 트리를 냈습니다. 계단 문제는 제가 계단을 하루에 100층씩 오르면서 살을 뺐던 걸 문제로 만든 거고, 루트가 많은 트리는 회사에서 의자에 앉아서 빙글빙글 돌다가 어 이거 괜찮네 하고 낸 문제입니다. 최고의 대회에 제 문제들을 선보일 수 있어서 너무 영광이었습니다!

영상에서 저를 찾아보세요!

대회 운영 참여

작년만큼은 아니지만 올해도 많은 대회의 운영에 참여했습니다.

대신 작년보다 훨씬 많은 문제를 출제했습니다. 이제 문제 은행을 만들어 놓고 대회에 필요할 때마다 하나씩 꺼내 쓰고 있어요.

SPC 2021

특히 NYPC와 SPC는 온사이트로 치뤄져서 즐거웠습니다. 이대로 위드 코로나를 이어가서 Hello 2022를 온사이트로 열면 좋았겠다는 생각은 있었지만 정말 안타깝게도 새로운 변이가 나타나 버렸네요…. 다음 온사이트 대회는 언제 열릴 수 있을까요.

코드포스

2021년의 코드포스 기록

어쩌다 운 좋게 찍은 오렌지를 박제해 두고 기고만장했던 것 같습니다. 1월 28일에 대회를 한 번 치고 11월까지 안 치다가 다시 쳤더니 퍼플을 넘어 블루를 다녀왔습니다.

1년을 잃어버렸습니다. 다시 마음을 다잡아야겠습니다.

대회 참가

올해는 UCPC에 참가자 신분으로 출전했습니다. 의외로 참가자로서는 처음 본선을 나가 봤고, 5등상(12등)이라는 괄목할 만한 성적을 냈습니다.

코드잼 3라운드와 SCPC 수상이 올해의 작은 목표였지만…

SCPC는 잘 모르겠고, 코드잼은 어이없는 실수를 해서 3라운드에 진출하지 못하게 됩니다.

3년 연속으로 코드잼 2라운드에 SCPC 파이널리스트인데요, 올해 목표 내년에는 제발 제발 이룰 수 있었으면 좋겠습니다. 노력해야겠습니다.

이외에도 ICPC 월드 파이널에 참가했습니다.

그래픽 디자인

블렌더

올해는 처음으로 3D를 만져봤습니다. 간단하게 solved.ac 프로필 배경들을 만들어봤습니다.

또 위에도 언급했지만 정보올림피아드 프론트엔드 UI/UX 디자인을 했습니다. 재밌었어요.

올해도 포스터를 만들었습니다.

이외에

심심했던 작년과 달리 올해는 인생 이벤트가 참 많았던 해였습니다.

어쩌다 보니 좋아하는 사람이 생겨서 사귀게 되었습니다.

같이 파스타도 먹으러 가고 돈까스도 먹으러 가고 곰탕도 먹으러 가고 김치찌개도 먹으러 가고 치맥도 하러 가고 카페도 가고 칵테일바도 가고 모든 순간을 함께하고 있습니다. 최고로 행복한 나날들을 보내고 있어요.

그리고 최고의 생일축하를 받았습니다. 절대 잊지 못할 거 같아요.

원래 부모님과 같이 살았는데, 회사가 너무 멀어서 낙성대에서 자취를 시작했습니다. 출퇴근 시간이 왕복 1.5시간 정도 줄었고, 샤로수길에서 배달이 됩니다.

다만 이게 문제가…. 12월부터 6월까지 매일 계단을 100층씩 오르면서 살을 15kg나 뺐는데, 자취 시작하고 나서 배달 음식 자주 먹고 애인과 여기저기 같이 다니다 보니 딱 뺀 만큼 다시 쪄버렸습니다. 다시 빼버리겠다는 결심으로 매일 집 뒷편 산을 오르고 있습니다.

자취하면서 마파두부랑 카르보나라를 자주 해먹었습니다. 요리 실력이 늘었어요. 카르보나라는 크림 카르보나라는 아니고 노른자랑 치즈로만 맛을 내는 카르보나라인데, 많이 연습했더니 이제 노른자를 익히지 않고도 따뜻한 카르보나라를 만들 수 있게 됐습니다. 자취방이 인덕션이 1구라 여전히 조금 어렵긴 해요.

노트북이 고장나서 새로 샀습니다. 메인 작업 컴퓨터로 이미 맥을 쓰고 있긴 하지만, 맥북은 하이퍼커넥트에서 인턴할 때 잠깐 써 본 걸 제외하면 인생 처음으로 써 보네요. 일정 성능 이상이라면 배터리가 오래가는 게 제일 중요하다고 생각해서 14인치 프로 모델로 샀습니다. 잘 산 거 같아요.

마지막으로 한동안 잘 안 보였던 한별이가 올해 다시 돌아왔습니다. 엄청 귀엽지 않나요? 언젠가는 라이브2D를 보고 싶다는 나름의 염원이 있었는데 올해 드디어 이뤄졌습니다.

귀여운 그림도 많이 추가되었어요. solved.ac 프로필 배경에도 많이 등록되었습니다.


올해 신년 목표는 ‘한 해 적당히 잘 보내기’였습니다. 이 정도면 적당히 잘 보냈을까요? 전혀 예상하지 못했던 행복한 일들도 많았고, 제 기고만장함을 반성하게 되는 일들도 있었네요.

내년엔 산업기능요원 복무가 만료됩니다. 회사를 계속 다닐지 복학해서 공부를 일찍 마칠지, 복학한다면 복수전공을 할지 대학원을 준비할지 머릿속에서 고민이 끊이지 않네요.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내년에는 위드 코로나 정식판을 즐길 수 있으면 좋겠습니다. 🔔

이른바 명예로운 자가격리를 당한 거지

2020년 회고

강변북로 사진
서강대교에서 찍은 강변북로

올해부터 블로그에 1년 단위로 뭘 했는지 회고를 써 보기로 했습니다. 나중에 잊어버리면 슬프잖아요.

애초에 애인도 친구도 없어서 약속 없는 핑계를 코로나 때문이라고 둘러댈 수 있는 좋은 한 해였습니다. 이른바 명예로운 자가격리를 당한 거죠. 저희 집에서 가장 가까운 박쥐 동굴 방향으로 하루에 세 번 절하고 있습니다.

그래도 코로나가 12월에는 끝나있을 줄 알았는데 그것도 아니더라구요. 일일 확진자 수 최고치 연일 갱신 중이고 저는 집에서 재택근무를 하고 있습니다. 엇 그래도 이제 직장은 있군요 다행이에요

소프트웨어 개발

solved.ac

이미지
살아남았다

올해는 solved.ac 개발에 꽤 집중했습니다. 올해 솔브드에 새로 생긴 큼직한 기능들은 다음과 같습니다.

  • 문제 정렬. (2월) 문제 목록에서 문제 순서를 쉽게 정렬할 수 있습니다.
  • 고급 검색. (2월) 문제 제목뿐 아니라, 맞은 사람 수, 문제 레벨, 내가 푼 문제 등에 필터를 걸 수 있고, AND, OR 등의 연산자를 이용해 검색하는 것이 가능해졌습니다. 검색 쿼리 문법을 직접 만들고, 이를 해석하는 파서 등도 만들었습니다.
  • 프로필 배경. (2월) 프로필을 배경으로 꾸밀 수 있게 되었습니다.
  • 라이벌. (4월) 다른 유저를 라이벌로 등록하고, 라이벌들과 나의 순위를 볼 수 있습니다.
  • 프로필 사진. (5월) 프로필 사진을 올릴 수 있게 되었습니다.
  • 화이트리스트제 종료 및 베타 종료. (6월 5일) 지금은 상상하기 힘들지만, 6월 이전에는 솔브드를 사용하려면 제게 이메일을 보내서 화이트리스트에 등록되어야 했습니다. 6월부터는 기존처럼 크롤링 및 파싱을 하는 방식에서 BOJ에서 유저 정보를 직접 받아오는 방식으로 바뀌어서, 누구나 사이트를 사용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 코드 교환. (8월) 리딤 코드를 입력해 배경과 프로필 뱃지 등을 교환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 자동 갱신. (11월) 이것도 지금은 상상하기 힘들지만, 11월 이전에는 문제를 풀고 나서 프로필에 있는 ‘갱신’ 버튼을 직접 눌러줘야 했습니다. 지금은 문제를 푸는 즉시 경험치가 반영되기 때문에 굳이 갱신 버튼을 누를 필요가 없습니다.

이제 BOJ와의 통합 작업도 거의 마무리되어 solved.ac에 굳이 들어오지 않고도 BOJ에서 solved.ac 문제 난이도와 태그 정보를 확인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또한, 길라잡이 등의 새로운 기능들이 공개를 앞두고 있습니다. 내년에도 잘 부탁드려요!

Javascript 프레임워크의 세계로

solved.ac의 소스 코드는 원래 대부분 PHP로 되어 있었습니다. 프론트엔드 코드가 복잡해지면서 유지보수에 무리가 갔고, PHP의 특징적인 여러 요소들 때문에 코드 베이스가 PHP인 이상 추가적인 무언가를 개발하기는 힘들겠다 싶었습니다.

그래서 컴포넌트를 만들고 재사용하기 좋다고 들은 React로 무작정 프론트엔드 포팅을 시작했습니다. 검색엔진 최적화도 해야 해서 SSR을 지원해 주는 Next.js도 같이 사용했고요.

당시에는 리액트에 대해 하나도 몰랐지만 지금은 현업에서 매일 사용하고 있을 정도로 익숙해지기 쉬운 프레임워크라고 느낍니다. 진작에 이걸 왜 안 했지? 싶을 정도로요. 참고로 리액트를 쓰기 이전에는 제가 만들었던 사이트들은 아무 프레임워크도 사용하지 않고 오직 vanilla JS로만 돌아갔습니다.

이후에는 Typescript도 적용해 프로젝트를 리팩터했습니다. 타입 추론이 상당한 개발 효율을 가져다주는 것을 체감할 수 있었습니다. 가령 기존에는 API response에 대한 타입 정의가 없어서(게으르게도 명세도 딱히 해 두지 않았었습니다), 필드나 타입을 헷갈려서 오류가 발생하거나 개발 속도가 느렸었는데, 지금은 타입 정의를 열심히 만들어서 제 human error로 오류가 발생할 수 있는 가능성을 대폭 줄였습니다. 되게 기본적인 거지만 나름 뿌듯했던 경험이라 소스 코드를 첨부해 공유해 봅니다.

type SolvedPageContext = NextPageContext & GlobalProps

export type SolvedPage<
  P = { siteTitle?: string[] },
  IP = P
> = NextComponentType<
  SolvedPageContext,
  IP & { siteTitle?: string[] },
  P & { siteTitle?: string[] }
>

export default SolvedPageContext

이렇게 정의하면 페이지의 Props의 타입 정의가 어떤지에 따라 getInitialProps에서 반환해 줘야 하는 타입이 결정됩니다. 아래 페이지의 경우 props.result의 타입이 Problem[]으로 정해져 있기 때문에 ProblemList에서 렌더 로직을 짜기가 상당히 편해집니다. 에디터 연동은 두말할 것도 없구요.

type Props = SolvedApiResponse<SearchProblems>

const LevelProblems: SolvedPage<Props> = (props) => {
  // ...
  return (
    <PageLayout>
      <h1>
        <TierMark value={level} locked={false} showName={true} />
        {caption ? ` — ${caption}` : null}
      </h1>
      <ProblemSortController
        currentSort={newQuery.sort}
        currentDirection={newQuery.direction}
      />
      <div>
        <ProblemList
          result={props.result}
          page={page}
          keys={['id', 'title', 'solved_count', 'average_try']}
        />
      </div>
    </PageLayout>
  )
}

LevelProblems.getInitialProps = async (ctx) => {
  // ...
  try {
    const response = await SolvedApi<SearchProblems>(token).get(
      '/search/problems.json',
      {
        params: {
          query: queryString,
          page: +(page ?? 1),
          sort: sort ?? ctx.currentSettings?.problem_sort_by,
          sort_direction:
            direction ?? ctx.currentSettings?.problem_sort_direction,
        },
      }
    )
    return {
      siteTitle: ['문제', '레벨', levelName(+(level ?? 0))],
      ...response.data,
    }
  } catch (e) {
    // ...
  }
}

여하튼 이런 식으로 기존에 PHP로 짜여 있었던 프론트엔드를 몇 달에 걸쳐 전부 React + Typescript + Next.js로 다시 짰습니다.

안타깝게도 백엔드는 아직도 PHP로 되어 있습니다. 현재는 길라잡이를 만들면서 백엔드도 Node + Express로 다시 구현하려는 계획을 갖고 있습니다. 완료되면 solved.ac에서 PHP 코드를 찾아보기 힘들게 되겠네요.

취업

넥하

위의 개발 경험 덕분에 6월 중순부터 넥슨컴퍼니 산하의 엔진스튜디오에서 일하게 되었습니다. 회고를 쓰고 있는 지금 시점으로 입사한 지 벌써 반 년이 넘었네요.

게임회사지만 제 주 업무는 웹 프론트엔드 엔지니어입니다. 사내외 여러 서비스의 개발을 맡아 하고 있습니다. 어떤 서비스라고 말하긴 그렇지만 아마 이 글을 읽고 계신 분들 중 적지 않은 분들께서 제가 작업했던 서비스를 이미 사용해 보셨을 겁니다. 😉

이미지
서버는 오로라

여담으로, 회사에서 매달 넥슨캐시를 일정량 지급하는데 쓸 데가 딱히 없어서 메이플스토리를 시작했습니다. 이제 모라스 코앞이네요. 12월 30일에 모라스에 갔습니다. 어쩌다 보니 받는 것보다 많이 결제하고 있지만 결제한 만큼 월급으로 돌려(?)주니 괜찮지 않을까라고 생각하고 있어요..


대회 프로그래밍

코드포스

올해는 그토록 염원하던 오렌지를 드디어 갔습니다.

2100

근데 레이팅이 딱 2100점입니다.

근데 이 어려운 걸 한 번 더 해냅니다.

+0

이 사람은 대체 뭐 하는 사람일까요? 대체 어떻게 했던 걸까요?

오렌지 수문장

그래프가 딱 2100에 걸쳐 있습니다.

오렌지가 되니까 Div 1 이외에서는 레이팅 변동이 일어나지 않습니다. 근데 Div 1은 자주 열리지도 않고, 열리는 날에는 제가 뭔가 바빠서 매번 못 치게 되더랍니다. 뭐 한마디로 게을러진 거죠. 복학할 때 적의환향하겠다던 시프트는 대체 어디로 가고? 다시 열심히 쳐야겠어요.

대회 개최

이미지
보셨나요? 저의 15 연속 검수!

UCPC 2020을 개최하고, 많은 대회에서 검수 및 출제를 했습니다.

  • 진짜 최종 구데기컵 2 – 출제, 검수
  • UCPC 2020 (전대프연 여름 대회) – 운영 총괄, 출제, 검수, 조판
  • SUAPC 2020 (신촌지역 연합 여름 대회) – 출제, 검수, 조판
  • 신촌지역 연합 캠프 2020 – 검수
  • SNUPC 2020 (서울대학교) – 검수
  • Uni-CODE 2020 (UNIST) – 검수, 조판
  • SPC 2020 (서강대학교) – 검수, 조판

알고리즘 문제 제작과 검수, 프로그래밍 대회 진행 프로세스에 대해 과도할 정도로 많은 것들을 배울 수 있었던 한 해였습니다. 특히 글을 잘 쓰는 법을 배울 수 있었어요. 기회가 되면 SUAPC/SPC 출제/검수 후기도 작성해 보고 싶습니다.

대회 참가

여러 대회에 참가했으나 올해는 다소 부진했습니다.

  • ICPC Asia-Seoul 2020 National First Round – 팀 Redshift로 출전, 5/12솔브 #36
    • 풀이를 옳게 생각했던 건 3문제나 더 있었는데.. 강의실 키보드 탓을 했습니다.
  • SCPC 2020 – Finalist, 172/1000
    • 4번 문제가 되게 풀릴 거 같이 생겼길래 3시간동안 4번 문제만 잡다가 결국 못 풀고 망했습니다. 점수를 긁읍시다 여러분.

팀 연습 때는 NxxRC 8~10솔브 밀고 다녀서 잘하겠지 싶었는데 막상 한국 예선에서 저런 성적이 나와서 당황스러웠습니다. 개인 연습 부족인 거 같네요.

…적의환향 할 수 있을까요?

스터디 진행

Sogang ICPC Team에서 연초에 아래 주제들을 다루는 스터디를 진행했습니다.


그래픽 디자인

많은 프로그래밍 대회 운영에 참가하면서, 자연스럽게도 관련 포스터를 만들게 됐습니다.


프로그래밍 대회 문제들에 들어가는 그래픽도 많이 만들었습니다.


solved.ac 공식 SNS 계정이 생기면서 정사각형 모양의 그래픽도 만들었습니다.

solved.ac 웹 디자인은 포토샵이나 일러스트를 켜서 하지 않고 CSS로 직접 하기 때문에 따로 목업 디자인 같은 건 따로 없습니다.

아쉽게도 예전처럼 개인작을 만들거나 할 여유는 없었네요.


이외에

휴학하고 회사 다니면서 아무것도 안 한 줄 알았는데 정리해 보니까 뭔가 한 게 꽤 있었네요. 건강검진에서 많이 쉬라는 소리를 들어서 내년 목표는 바쁘지 않게 한 해를 보내는 것으로 해야겠습니다.

이미지
갤럭시 노트20 울트라 5G

휴대폰을 갤럭시 노트 20으로 바꿨어요. 흰색이 정말 예쁘길래 흰색으로 샀는데 잘한 선택인 거 같아요. 5G폰이지만 5G가 너무 안 터진다는 소리가 많아서 5G를 쓰지 않기 위해 자급제로 샀습니다. 근데 정작 노트에서 가장 중요한 기능이라고 할 수 있는 S펜은 자주 안 쓰게 되더라구요. 왼쪽에 달려 있어서 그런가..

라프텔

저어어엉말 오랜만에 애니메이션을 열심히 봤습니다. 넷플릭스도 열심히 봤습니다. 베스 하먼을 보고 체스 세트를 샀어요. 근데 잘 못 두는 거 같네요.

이미지
신도림역 출발열차 (특징: 신도림에서 출발함)

신도림역 출발열차의 존재를 알고 삶의 질이 올라갔어요.

이미지
츄니즘

세가의 리듬게임 ‘츄니즘’이 한국에 정식 발매되어서 휴가 쓰고 한주 내내 다녀왔어요.

이미지
서강대교에서 찍은 여의도

자전거를 유난히 많이 탔던 해였던 거 같기도 하네요. 특히 학교에서 놀거나 문제 풀다가 or 상수역 오락실에서 놀다가 서강대교 건너서 집에 따릉이 타고 자주 왔는데, 이제는 코로나 시국이 심해져서 자전거 타고 밖에 돌아다니기도 눈치 보이게 되었어요. 코로나가 없던 시절이 너무 그립네요..


솔브드 백엔드 Node.js 포팅도 마치고 싶었고, 그림도 그릴 줄 알게 되면 좋겠다 싶었고, 코드포스 레드도 가고 싶었고, 되게 하고 싶었던 게 많았어요. 다 못 이뤄서 올해 별로 한 게 없었던 줄 알았는데.. 정리해 보니까 이런 시국 속에서도 올해 되게 뭔가 많이 했었네요 😅 제가 너무 하고 싶은 게 많았나봐요. 좀 한가하게 살아도 되겠습니다. 건강검진에서도 많이 쉬라는 소리를 들었구요.

이 정도면 올해 나름 잘 보냈네요. 신년 목표도 한 해 적당히 잘 보내는 걸로 해야겠습니다.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